최근 대만이 글로벌 테크 업계의 중심 무대에 다시 올랐습니다.
올해 타이베이에서 열린 COMPUTEX에서는 엔비디아, AMD, 인텔, Arm, NXP, 퀄컴, 미디어텍, 슈퍼마이크로 등 글로벌 IT 기업 CEO들이 한자리에 모여 기조연설을 했습니다. 단일 행사에서 이 정도의 라인업이 나온 건 흔치 않은 일입니다.
몇 년간 중국 상하이 MWC나 CES Asia 같은 행사에 밀려 다소 힘을 잃었던 COMPUTEX는, AI 붐으로 인해 다시 국제적인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되었습니다.
대만의 반도체 중요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지만, 올해 행사를 통해 AI 산업 성장의 토대가 바로 대만이라는 점이 더욱 분명해졌습니다.
엔비디아 젠슨 황 CEO도 “엔비디아의 모든 일은 대만에서 시작해 전 세계로 확산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증명하듯, 대형 투자 발표도 이어졌습니다.
대만은 잘 알려진 대로 세계 전자제품의 생산기지입니다.
Asus, Acer와 같은 소비자 브랜드, Foxconn, Pegatron, Wistron 같은 ODM 제조사들이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을 포함해 거의 모든 디지털 기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글로벌 기업이 제품을 위탁 생산하거나 CE 기기에 기술을 탑재하려 한다면, 대만이 최적의 출발지가 됩니다.
동시에 COMPUTEX와 함께 열린 InnoVEX 전시회에서는 대만 스타트업들의 기술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들 기업은 이미 현지 고객을 확보했고, 이제 글로벌 시장 진출 파트너를 찾고 있습니다.
대만은 자원과 인력이 제한적이어서 해외 파트너십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한국 기업에 열려 있는 기회는 다음과 같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대만을 ‘제조 파트너’로만 인식하지만, 내수 시장으로서의 잠재력도 큽니다.
대만은 이제 단순히 반도체와 전자 제조 중심지가 아니라, AI, 에너지, 소프트웨어, 바이오,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산업에서 글로벌 협력 기회를 찾는 곳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이 해외 진출을 고려한다면, 대만은 파트너·시장·테스트베드 세 가지 측면에서 모두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가능성을 직접 확인하고 싶다면, 내년 COMPUTEX에 꼭 방문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대만 내 기술 협력 기회에 대해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스튜어트 랜달에게 연락 주세요. (stewart.randall@intralinkgroup.com)